이클립스 오류가 난다...

출근하자마자 소스 최신껄로 업데이트 하다가 서버 재시작했는데 이러면 진짜 짜증남..

에러내용을 보니 포트번호를 사용중이다 뭐다 해서 포트번호를 바꾸니

저런 에러가 난다...

찾아보니 이미 내 프로세스가 사용중이었던것

일단 프로세스를 확인해보자

 

이걸로 보고 해당 맨 우측 PID를 확인한다.

그뒤 죽여버리자!!

taskkill -f -pid 찾은프로세스 아이디

그런다음 재시작하면 될것!

'개발모드 > 개발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Developer 설치 (오라클 설치했다는 전제)  (0) 2020.07.15
WinMerge 설치 및 실행  (0) 2020.06.24
DB툴 소개(DBeaver) 및 설치  (1) 2020.06.15

오라클을 설치했다는 전제하에 SQL Developer를 설치해 보자

1. 해당사이트에서 SQL Developer를 받는다.

(다운로드시 로그인 필요)

https://www.oracle.com/tools/downloads/sqldev-downloads.html

일단 뭐 난 JDK도 안깔려 있으므로 JDK포함된 버전으로 받는다.

 

각자 버전은 알아서 잘 맞추시길...

2. 다운로드된 파일을 실행한다.

   2-1. 실행파일의 위치

  2-2. 그냥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바로 뜬다(무설치인가?)

 

3. 환경설정을 잡는다.

보통 TNS가 자동으로 잡히지만 나처럼 개발환경이 항상 안되는 불운이 따르는 사람이 있을경우

 

 

이렇게 경로에 찾아가 강제로 잡아준다. 그러고 나면

 

 

메인페이지에 이게 뜨고 아래에 불러온 TNS에 대한 명칭이 뜬다

그중에 원하는걸 찾아서 접속!

아뒤와 비번을 치면

접속 성공!

이라고 하기엔 시스템 날짜가 왜이러지

설정을 해야겠다

일단 NULL값 잘보이게 설정하고

 

 

그다음 날짜설정을 해준다.

YYYY-MM-DD HH24:MI:SS 날짜형식에 이형식을 넣어주고 다시 실행

오케이

참! 실행은 문장 끝에; 붙이고 Ctrl+Enter

'개발모드 > 개발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net.Bi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JVM_Bind  (0) 2020.12.03
WinMerge 설치 및 실행  (0) 2020.06.24
DB툴 소개(DBeaver) 및 설치  (1) 2020.06.15

개발시 소스비교는 필수과정이다. 기존것과 뭐가 다른가 혹은 내가 반영한 소스가 제대로 반영됬나

이것들때문에 그전까지는 Beyond Compare3를 썼었는데

역시나... 문제는 라이센스... 또 무료툴을 찾아봤다.

이러다 대머리 되는건 아닌지...

검색하다 찾게된 WinMerge!!

http://winmerge.org에 들어가서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클릭하면 이렇게 뜨는데 기다리면 자동 다운로드 받아진다.

 

이후 파일을 클릭하여 설치한다.

그럼 끝

설치를 했으니 잘되나 실행해보자!!

새로고침을 누르던지

 

노락색이 차이나는 부분이다.

새창을 띄우고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비교해야될 소스 두개를 올리고

새로고침을 누르던지

 

단축키(F5)를 누르면 비교가 시작되면서 위와같이 차이점이 나온다.

오케이!

즐겨쓰던 Toad..

아마 다들 키젠으로 설치해서 사용하지 않을까 싶다..

이러다 보면 연락이 오는데...

"너 라이센스 안샀으니까 쓰지마라, 쓰면 고소할꺼임"

그래서 이거저거 찾다가 Sql developer 쓰긴 하지만 너무 야생의 상태라... 어색하다.

그래서 찾은게 DBeaver

정말 귀여운 비버가 아이콘으로 있다!!

open sourece 기반으로 심지어 무료!! 거기에 난 Maria DB 연동까지 해야될일이 있어서 여러가지로 지원이 가능한

툴이 필요했다.

[설치과정]

1. 언제나 그렇듯이 프로그램을 받기...

https://dbeaver.jkiss.org/download/

무설치 버전 (Zip) 으로 설치해도 되는데 Jre가 사전에 설치되어있는경우만 가능하다

없다면 위에 빨간박스 클릭하면 jre 설치까지 진행해준다.

2. 설치야 뭐 항상 별말없으면 next,next,agree,agree.. 하고 나면 DB를 connection 해준다.

실행하면 

이쁜 화면이 뜨면서 로딩을 하고..

이제 디비 연결을 해준다.

2-1. 오라클 쓸꺼니까 오라클 클릭하고 (왼쪽 카테고리는 해당되는 DB를 찾아서 고르면 된다) 다음을 눌러준다.

Basic 탭에서 직접 Host를 쳐도 되지만 TNS를 가지고 있으면 그거 쓰면 된다!

해당 TNS명을 선택하고 TNS파일(tnsname.ora)위치의 폴더를 path로 잡아준다.

그리고 username 하고 password 야 뭐 .. 알아서 입력하고 

2-2. 완료하기전에!! EDIT driver setting 을 해준다!!

라이브러리에 해당파일 4개를 추가한다.

ojdbc8-12.2.0.1.jar
3.85MB
orai18n-12.2.0.1.jar
1.58MB
xdb6-12.2.0.1.jar
0.25MB
xmlparserv2-12.2.0.1.jar
1.81MB

그리고 마지막에 Driver class를 빨간색 네모 표시된것과 같이 잡아준다.

3. 다하고난 다음 완료를 눌러주고 Connection detais를 누르고 완료를 눌러주면 연결된다!

 

오! 너무 이쁘다

어찌저찌 첫 이직을 하고 개발환경을 구성하고

쿼리를 좀 볼라했드니... 뭐야 이거.. 다 한줄로 나오네...

여지껏 내가 편하게 살았었구나..... 아 극혐극혐...

좀 찾아보니 결과쿼리를 개행(뭐 줄나누기 정도?)해서 보기 편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었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다 알듯... (또 나만 몰라)

 

1. 일단 침착하고 옆사람한테 물어보지 말고(내실력이 드러날수 있다..) 다음 두개의 파일을 받는다. 

log4sql_conf.jsp
0.02MB
log4sql.jar
0.08MB

 

2. 그 다음 이클립스 프로젝트 내에서 해당 파일을 끌어다가 넣어준다.

대략 뭐 그림대로 하면 되는데 이대로 안되있는경우도 있으니까..

WEB-INF 안에 lib폴더에 jar파일 넣고 그 밖에는 jsp파일을 넣어준다.

 

3. 빌드패스 해준다. (뭐..? 빌드 뭐...? 옆사람한테 또 묻지 않는다..)

내가 지금 하고있는 프로젝트를 선택해서 우클릭하고 build path 하라는 뜻

위의 과정은 환경설정에 대하여 서버재시작시 환경설정을 읽을수 있게 하는 과정이다..

뭐... 우리 게임 그래픽 설정하고 재적용하는 경우 있자나? 그런경우라고 알고있자 나머진 나도 모른다 -_-

 

4. 데이터 소스를 변경한다. (아 그냥 설치파일 하나로 해결하면 안되나)

쿼리를 불러오는 부분의 경로를 바꿔주는 작업이다. 이걸해야 최종적으로 적용된다.

context-datasource.xml 이건데 내용을 보면 대략 DB정보들이 담겨있는듯 하다..

(여기는 디비정보가 포함되어있어 함부로 사진을 올릴수없다.)

이파일에서 value = "core.log.jdbc.driver.OracleDriver" 로 변경한다.

원래는 아마도 DB가 오라클이면 code.log.jdbc.driver.OracleDriver 라고 되어있을껄?

 

그다음 최종적으로 서버재시작을 하는데

아마 에러 좀 나올꺼다.

그럼 옆에 사람에게 물....아니다.. 괜한짓하지말자.

 

5. 서버를 클린해준다.

 

그러면 재시작되고 쿼리 추출하면 개행된다!

이제 이건 안물어봐도 된다!!

+ Recent posts